○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사람 2) 심한 우울증 환자 3) 피부 광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사람 4) 임부 및 임신가능성이 있는 여성 또는 수유부(사용경험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5) 12세 미만의 어린이(사용경험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의 약을 복용하지 말 것. 1) 항바이러스제 중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및 만성C형 간염 치료제(에파비렌즈, 네비라핀, 데라비르딘, 라미부딘, 지도부딘, 스타부딘, 아바카비르, 디다노신, 잘시타빈, 인디나비르, 사퀴나비르, 리토나비르, 넬피나비르, 암프레나비르, 소포스부비르, 레디파스비르 등)와 병용시 이러한 항바이러스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2) 항응고제(아세노쿠마롤, 펜프로쿠몬, 와르파린,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등)의 항응고작용을 저해합니다. 3) 세포증식 억제제(이리노테칸, 시클로포스파마이드, 타목시펜, 탁솔, 에토포시드 등) 4) 면역억제제(시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시롤리무스, 에베로리무스 등)와 병용시 혈장농도의 감소 및 면역억제효과의 저하를 야기시키며 잠재적으로 심각한 결과(이식거부)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3.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강한 자외선 노출(장시간 일광욕, 태양광램프, 선탠침대)
○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5.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시 가능한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1) 피부 : 드물게 알레르기 피부반응(붉어짐, 가려움)이 나타나는 경우, 햇볕에 대한 피부의 민감성이 증가하는 광과민반응이 나타나는 경우(특히, 피부가 흰 사람에게서 유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정신신경계 : 드물게 피로, 불안, 졸음, 초조가 나타나는 경우 3) 소화기계 : 드물게 위장관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
6. 기타 이 약의 복용시 주의할 사항 1) 지금까지 이 약에 의한 급성 중독증상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 과용량 복용후 광독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1 ∼ 2주일 동안은 태양광선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보호되어야 합니다(외출시간을 줄이고, 의복 및 햇볕차단지수가 높은 햇볕보호제품을 이용하여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합니다.). 2) 이 약은 CYP-450 대사효소를 유도하므로, 이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다음 의약품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상반응이 동반될 수 있는 약들을 동시 투여시 이 약의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면 혈장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의약품과의 병용은 가능하면 피하고 부득이하게 병용 시에는 이상반응 발현 여부 및 아래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강심약(디기톡신, 디곡신, 메틸디곡신 등), 기관지확장제(아미노필린, 콜린테오필린, 테오필린 등), 항부정맥약(아미오다론, 퀴니딘, 디소피라미드, 프로파페논, 리도카인 등), 항경련약(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프리미돈 등), 진정수면제(미다졸람 등)와 병용시 이러한 약들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투여 시작시와 종료시 이러한 약들의 효과에 대한 신중한 모니터링 실시가 필요하다. (2) 경구 또는 주사용 피임제(에티닐에스트라디올, 데소게스트렐, 노르에티스테론, 레보노르게스트렐 등) 또는 이 약물을 포함한 피임기구(이식제 포함) 등의 효능 감소 및 부정 성기출혈의 발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편두통치료제(수마트립탄, 나라트립탄, 리자트립탄, 졸미트립탄 등)와 병용시 이러한 약들의 이상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선택적세로토닌재흡수저해제 등 항우울제(이미프라민, 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설트랄린, 네파조돈, 에스시탈로프람, 벤라팍신 등)와 병용시 구역, 구토, 불안, 안절부절, 혼란이 나타나는 등 이상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메사돈 : 메사돈 혈중 농도 및 효과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메사돈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47 %까지 감소한 보고가 있습니다. (6) 지질저하제(심바스타틴과 같은 특정 HMG-CoA reductase 저해제(프라바스타틴은 제외))와 스테로이드 호르몬(경구용 또는 정맥 투여용)의 작용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7)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및 COX-2 저해제 등의 관절염치료제, 칼슘채널 차단제 등의 혈압강하제, 경구용 혈당강하제(metformin) 또는 기타 혈당조절제, 마약성 진통제 등도 이약과 잠재적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정해진 용법·용량을 준수할 것.
7○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의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3) 직사일광을 피하고 될 수 있는 대로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 뚜껑을 꼭 닫아 보관할 것
본 글(포스트)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약학정보원을 참고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본 내용의 정확성에 대해서 의약학적·법률적 공신력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약물치료 또는 약물복용(투약) 시에는 반드시 약사 또는 의사의 상담을 통하여 정확한 복약지도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알맞은 의약품 복용(투약)으로 약물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의약품의 위해성으로부터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