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기질성 뇌장애 또는 뇌파이상 환자 2) 심혈관질환 환자 3) 리튬체내저류를 일으키기 쉬운 상태의 환자 (1) 신장애 환자 (2) 쇠약 또는 탈수상태의 환자 (3) 발열, 발한 또는 설사를 수반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 (4) 나트륨섭취제한 환자 (5) 치아짓계 이뇨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6) 세로토닌 효현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4)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5) 애디슨병 환자
○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리튬체내저류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환자 (1) 신장애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식사 및 수분섭취량이 부족한 환자 3) 고령자 4) 간장애 환자 5) 갑상선기능항진 또는 저하증 환자(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의 병발시에는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6) 리튬에 이상적으로 감수성을 나타내는 환자(혈청 리튬농도 1.5 mEq/ℓ 이하에서도 증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합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합니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신기능 등의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어서 혈청 리튬농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합니다.
10
본 글(포스트)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약학정보원을 참고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본 내용의 정확성에 대해서 의약학적·법률적 공신력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약물치료 또는 약물복용(투약) 시에는 반드시 약사 또는 의사의 상담을 통하여 정확한 복약지도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알맞은 의약품 복용(투약)으로 약물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의약품의 위해성으로부터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