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소화성궤양 환자 2) 심한 혈액이상 환자 3) 심한 간장애 환자 4) 심한 신장애 환자 5)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6) 심한 고혈압 환자 7)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8) 아스피린이나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COX-2 저해제 포함)에 의하여 천식, 기관지 경련,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알레르기 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이러한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 후 치명적인 중증의 아나필락시양 반응이 드물게 보고되었습니다.) 9) 이 약에 의하여 설사를 일으킨 환자 10)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환자 11) 임신말기의 부인 12)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됩니다. ○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성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혈액이상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3)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혈소판기능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간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5) 신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6) 심기능부전 환자 7) SLE(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 8) 고혈압 환자 9) 기관지천식 환자 10) 궤양성 대장염 환자 11) 크론병 환자 12)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13) 고령자, 소아 14) 식도통과장애 환자 15) 이 약은 황색5호 (선셋옐로우 FCF, Sunset Yellow FCF)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 4
○ 소아에 대한 투여 1) 인플루엔자에 수반하는 발열에 투여하지 않습니다. 2) 어린이에는 필요한 최소량으로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반응의 발현에 특히 유의합니다. 10○ 고령자에 대한 투여 1) 고령자는 이상반응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소량부터 투여를 시작하고 필요한 최소량으로 투여하며, 이상반응의 발현에 특히 유의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합니다. 2) 고령자에게 장기 투여 시 자기면역성 용혈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이상이 인정되면 투여를 중지합니다. 11. 임상검사치에 대한 영향 익토(Icto)테스트에 의한 요 빌리루빈 검사에서 위양성을 나타내므로 기타 검사법을 실시합니다. 12
본 글(포스트)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약학정보원을 참고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본 내용의 정확성에 대해서 의약학적·법률적 공신력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약물치료 또는 약물복용(투약) 시에는 반드시 약사 또는 의사의 상담을 통하여 정확한 복약지도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알맞은 의약품 복용(투약)으로 약물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의약품의 위해성으로부터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랍니다.